한빚의 이러쿵

한빚의 이러쿵

  • 분류 전체보기 (9)
    • 경제 (9)
      • 경제 상식 알아보기 (9)
      • 경제 뉴스 알아보기 (0)
    • 마케팅 (0)
      • 독서록 (0)
      • 인사이트 (0)
  • 홈
  • 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한빚의 이러쿵

컨텐츠 검색

태그

ㅎ예 경제입문 미국채 경제 공부 경제공부 경제초보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 기준금리인상 주식기초 ㅖㅠㄲ 금리 후ㅖ 공부 ㅖㄸㄲ 경제 후ㅑ 기준금리인하 캐리 트레이드 기초경제 GNI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전체 글(9)

  • DAY 9 - 달러와 엔, 묘한 둘의 사이에 대해 알아보자

    다시 돌아온 경제 기초 공부 시간(자주자주 해야지) 경제를 공부하다가 듣게 된 한 이야기. 엔( 円 ,일본 통화)이 안전 자산으로 분류된다는 것이다. 이웃나라 통화는 왜 안전 자산이고, 우리 원화는 왜 안전 자산이 아닌 것일까... 그래서 조금씩 파다 보니 얽히고설킨 달러와 엔의 관계에 대해서 쬐금 공부하게 되었다. 그래서~오늘 해볼 공부는 달러와 엔, 무슨 사이일까!대응하지 말고 대비해라, 난 둘다 못했다..._한빚1️⃣ 일본의 경제 구조와 엔화의 역할🔹 일본은 수출 중심 경제일본은 자동차, 전자제품, 기계 등 수출 주도형 경제를 가진 나라다.일본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려면 엔화 가치가 너무 강해지면 안 된다.💔엔화 강세 → 일본 수출품 가격 상승 → 수출 경쟁력 저하❤️엔화 약세..

    2025.04.03
  • DAY 8 - 펀드?ETF? 그거 주식이야?

    간헐적으로 돌아온 8째 경제 상식 공부 시간.주식 투자에 관심은 있지만, 직접 종목을 고르고 사고파는 게 부담스러운 사람도 많다. "어떤 주식을 사야 할지 모르겠어.", "투자에 시간이 부족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사람들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 바로 간접투자 상품!그중 대표적인 것이 "펀드"와 "ETF"오늘은 이 두 가지 투자 방식의 개념과 장단점을 비교해 보자!너무 잃어서 이제 무뎌질 줄 알았는데, 아직도 아프더라_한빚1. 펀드(Fund)란?펀드는 투자자들의 돈을 모아 전문가(펀드 매니저)가 대신 운용하는 투자 상품이다. 쉽게 말해, 주식이나 채권 등을 직접 고르는 대신 전문가에게 맡겨서 투자하는 방식이다.🔹 펀드의 장점전문가가 운용: 개별 투자자가 직접 종목을 분석하고 관리할 필요가 없..

    2025.03.28
  • DAY 7 - 우리들의 콜로세움, 주식이란 무엇일까?

    7일차로 돌아온 한빚의 경제 알아보기 시간.오늘은 우리들의 친구, 우리들의 콜로세움, 우리들의 투우장, 우리들의 야바위(처럼 하면 안됨), 우리들의 도파민!주식이란 무엇일까?처음 나의 주식 걸음마는 대학생때 였었다..(대충 아련한 BGM)친구들과 함께 빙 둘러 앉아 거래량이 많은 아무 종목이나 사서, 영차영차 차트를 응원했던 낭만의 시절...정말 무지성 투기와 다름 없이 시작했었다.그리고 시간은 흘러 24년이 되어서야, 야금야금 공부하고 거래하고 하게 되었다. 단순히 "주식을 사면 돈을 벌 수 있다"는 식의 막연한 개념이 아니라,주식의 본질과 시장의 원리를 제대로 이해하면 투자할 때 훨씬 더 전략적인 판단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오늘은 "주식" 그 자체에 대해 알아보자!제발 ! 주식도 물건처럼 ..

    2025.03.20
  • DAY 6 - 금 중의 금...세금에 대해 알아보자

    어찌어찌 찾아온 6번째 시간!의 주제는일상속에서 숨쉬듯 내고있는 금...세금...월급을 받을 때, 물건을 살 때, 사업을 할 때, 상속 받을 때 등등등등등 세금은 우리 내의 삶과, 경제 활동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그렇다면???우리가 내는 세금에는 어떤 종류가 있고?어떻게 측정되고??그 돈은 어디에 쓰일까??? 한번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자! 많이 버는 것 도, 잘 지키는 것 도 둘다 중요하지 않을까_한빚1. 세금이란? 그리고 세금이 쓰이는 곳세금이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국민에게 걷는 돈을 의미함.우리가 내는 세금은 국방, 치안, 교육, 복지, 도로 건설 등 다양한 곳에 쓰이고 있음. 세금이 쓰이는 곳 예시국방비: 군대 운영, 무기 개발, 안보 유지사회복지: 기초연금,..

    2025.03.19
  • DAY 5 - 션의 의지..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

    나는 스태그플레이션 이라는 단어를 최근에 처음 봤다.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은 뭐...물가에 관련된 거라고 짐작으로 알고 있으나(하도 많이 들어서)스태그플레이션은 완~전히 초면인 느낌. 최근 뉴스에서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후퇴로 인한 뉴욕증시 회복, 급등" 관련된 글들이 많이 보이고 있다.그렇다면?!스태그플레이션이 뭐길랴 떨어지던 (내 소중한) 주식들을 쥐락펴락 하는지! 알아보자~ (오늘도 틀린 내용이 있다면, 수정사항 댓글로 부탁드리겠습니다!) 1. 인플레이션(Inflation) : 물가 상승 인플레이션은 전반적인 물가가 지속적으로 오르는 현상을 뜻함.한마디로 돈의 가치가 떨어지고, 같은 돈으로 살 수 있는 물건이 줄어드는 현상. 옛날에 파리바게트 에그타르는 900원 이었다.학원갈 때 마다 앞에 있던..

    2025.03.13
  • DAY 4 - 금리와 채권의 썸띵(?)을 알아보자

    경제 콘텐츠의 단골 손님!툭 하면 나오는 그 주제!금리 인하와 채권 투자에 대해서 공부하는 시간을 갖어보자. 전세계는 지금 대 금리 인하의 시기를 맞이 하고 있다.저번 공부에서 우리는 금리가 인하하면 파생 상품처럼 일어나는 일에 대해서 알아보았다(안봤으면 보고 오~기)최근 한국은행 또한 기준 금리를 1월 3%에 이어서 2월 2.75% 인하 하면서, 경제 활성화! 내수 진작! 가게 대출 부담 절감! 등을 도모하고 있다.(하지만 항상 금리 인하로 인한 인플레이션을 조심해야한다.내 원화 가치도..!) 이런 뉴스가 많이 나오는 요즘, 채권 투자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 것을 한번쯤 봤을 것이다. 그렇다면채권은 무엇이냐?금리의 변동과 채권은 무슨 상관이냐??!그래서 지금 채권을 사라는 소리냐???!!!!!에 대해서..

    2025.03.12
이전
1 2
다음
티스토리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