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 5 - 션의 의지..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

2025. 3. 13. 18:02경제/경제 상식 알아보기

나는 스태그플레이션 이라는 단어를 최근에 처음 봤다.

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은 뭐...물가에 관련된 거라고 짐작으로 알고 있으나(하도 많이 들어서)

스태그플레이션은 완~전히 초면인 느낌.

 

최근 뉴스에서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후퇴로 인한 뉴욕증시 회복, 급등" 관련된 글들이 많이 보이고 있다.

그렇다면?!

스태그플레이션이 뭐길랴 떨어지던 (내 소중한) 주식들을 쥐락펴락 하는지! 알아보자~

 

(오늘도 틀린 내용이 있다면, 수정사항 댓글로 부탁드리겠습니다!)

 


1. 인플레이션(Inflation) : 물가 상승

 

인플레이션은 전반적인 물가가 지속적으로 오르는 현상을 뜻함.

한마디로 돈의 가치가 떨어지고, 같은 돈으로 살 수 있는 물건이 줄어드는 현상.

 

옛날에 파리바게트 에그타르는 900원 이었다.

학원갈 때 마다 앞에 있던 파리바게트 가서 에그타르트 하나씩 먹는게 삶의 낛이었는데...

지금은 얼마더라...2100원? 너무 올라버렸다!

 

왜 인플레이션이 발생할까?

1. 수요 증가: 사람들이 돈을 많이 쓰면, 상품과 서비스의 수요가 증가해 가격이 상승함.

2. 생산 비용 상승: 원자재나 인건비가 오르면 기업이 제품 가격을 올려야 함.

3. 통화량 증가: 시장에 돈이 너무 많이 풀리면 돈의 가치가 떨어지면서 물가가 상승함.

(실제로 미국은 코로나 당시 엄청나게 달러는 찍어냈다!)

 

인플레이션이 어떤 영향을 주는데?

1. 경제 성장의 신호가 될 수도 있지만, 과도한 인플레이션은 생활비 부담 증가, 구매력 하락을 초래.

2. 저축의 가치가 떨어지고, 자산 가격이 상승하는 경우가 많음(예: 부동산, 주식)


 

2. 디플레이션(Deflation): 물가 하락

디플레이션은 경제 전반에서 전반적인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이다.
겉으로 보면 물가가 내려가니 싸게 먹고 사고 좋은 것 같지만, 사실은 경제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음.(싼게 비지떡 느낌)

 

싸게 살 수 있으면 사람들의 소비가 증가할 것 같지만 사실은 그 반대.

당장 내일 사면 더 싸게 살 수있는데, 왜 오늘삼?이라는 마인드가 시장 전반적으로 확산.

오히려 소비가 줄어들고, 기업 매출이 감소하면서 생산량까지 줄어드는 악순환이 시작된다...

 

왜 드플레이션이 발생할까?

 

 

1. 경기 침체: 소비자들이 지출을 줄이면 기업 매출이 감소하고, 물가가 하락함.

2. 공급 과잉: 상품이 너무 많지만, 사려는 사람이 적으면 가격이 떨어짐.

3. 통화량 감소: 시장에 돈이 부족하면 소비가 줄고, 기업들은 가격을 낮춰야 함.

 

디플레이션이 어떤 영향을 주는데?

 

1. 소비와 투자가 위축되어 경제 성장이 둔화됨.

2. 기업의 수익성이 악화되어 고용 감소, 임금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음.

3. 부채 부담이 증가함(돈의 가치가 올라가면서, 기존 빚이 더 무겁게 느껴짐)


3.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경기 침체 + 물가 상승

대 환장의 콜라보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은 경기가 나쁜데도 물가가 오르는 현상(인플+디플)을 뜻함.
즉, 경제 성장이 멈추거나 둔화되었는데, 동시에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상황임.

 

예를 들자면?

수익성이 악화된 기업은 제정 안정을 위해서 사람들을 해고 시키는데, 생활비는 오르는...

회사에 매출은 줄어들었지만,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제품 가격을 낮출 없는...

진퇴양난의 상황이 스태그플레이션이다...

 

왜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할까?

 

1. 공급 충격: 원유 가격 상승처럼 생산 비용이 급격히 오르면 기업들은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음.

2. 잘못된 정책: 정부가 경기 부양을 위해 돈을 풀었는데, 경제 성장은 하지 않고 물가만 오르는 경우.

3. 외부 요인: 전쟁, 기후 변화 등으로 공급망이 무너지면 스태그플레이션이 올 수 있음.

 

이유를 알아보니 충분히 지금 시점에 스태그플레이션이 충분이 올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원유 가격 상승-러시아산 석유가 전쟁으로 인해 유통이 쉽지 않아 석유가격 상승

잘못된 정책(?)-코로나 당시 달러를 파격적으로 찍어낸 후폭풍

이 외의, 여러 요인들이 스태그플레이션을 야기시킨 것 이 아닐까??

 

스태그플레이션이 어떤 영향을 주는데?

 

1. 경기는 침체되는데 물가는 계속 상승, 소비자와 기업 모두 어려움을 겪음.

2. 실업률이 증가하면서도 생필품 가격은 오르므로 생활 수준이 악화됨.

3. 경제 정책을 세우기 어려워짐(물가를 잡으려면 금리를 올려야 하지만, 경기를 살리려면 금리를 내려야 함).


 

 

 

 

 

 

 

 

4.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의 차이점 정리


구분 물가변동 경제 성장 주요 원인 영향
인플레이션 상승 성장 수요 증가, 통화량 증가, 원자재 상승 생활비 증가, 자산 가격 상승
디플레이션 하락 둔화 소비 감소, 공급 과잉, 통화량 감소 경기 침체, 실업 증가
스태그플레이션 상승 둔화/침체 공급 충격, 정책 실패, 외부 요인 실업 증가, 경기 침체 심화

5. 그래서 우린 어떤 스탠스를 보여야 할까.

📌 인플레이션 시 투자 전략

  • 부동산, 원자재 관련주(금, 석유, 곡물 등)에 투자하면 유리.
  • 기술주, 성장주는 인플레이션에 취약할 수 있음(금리 상승으로 투자 위축).
  • 배당주나 실적이 탄탄한 기업 중심으로 투자하는 것이 좋음.

📌 디플레이션 시 투자 전략

  • 현금 가치가 상승하므로, 현금 비중을 늘리는 것도 전략임.
  • 채권 투자가 유리할 수 있음(금리 하락 가능성이 높아 채권 가격 상승).
  • 필수 소비재(식품, 의약품) 관련주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일 가능성이 큼.

📌 스태그플레이션 시 투자 전략

  • 금과 같은 안전자산이 강세를 보이는 경우가 많음.
  • 실적이 탄탄한 배당주 중심으로 방어적인 포트폴리오를 짜야 함.
  • 석유, 원자재 관련주는 원가 상승분을 가격에 반영할 수 있어 유리할 수도 있음.


공부를 하다 보니 요즘 왜 배당주 주가가 상승하고, 금의 가격이 상승했는지 알 수 있었다!
스태그플레이션을 우려한 투자자들의 판단이었던 것!
한 발 느린 공부였나...
하지만 인생 길고, 아직 하락장 끝난 것도 아니고, 계속 투자할 거니까!
앞으로도 공부해 나가면, 나도 대비라는 걸 할 수 있지 않을까???

가장 빠른 순간이 지금이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