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 3 - 금리를 내린다고요?뭐 할인 같은 건가요?

2025. 3. 9. 12:00경제/경제 상식 알아보기

오늘도 찾아온 경제 초보의, 경제 걸음마 시간.

평소에 뉴스를 보면 "기준 금리가 인상되었다."

뭐 "파월이 금리 인하를 서두르지 않을 거다"라는 둥.

환율과 비슷한 수준으로 많이 보이는 단어가 "금리"라고 본다.

그래서

금리가 뭔데??

왜이리 오르락내리락 하는건데?

기준금리가 오르면 왜 대출이자도 같이 오르는데?

와 같은 의문들을 해결하고자, 금리에 대해서 알아보자~


명실상부 최고의 예능, "뿅뿅지구오락실"

거기서 이런 문제가 나온 적 있었다.

출처 : 지구오락실2, 나나백반

Q : 대출금리가 오르면 왜 집값이 떨어질까요?

 

라는 문제에 미미님이 청산유수로 대답을 해서 많은 사람들을 놀라게 한 장면이 있었다.(중 한 명 나야 나)

 

 

예능에 까지 나온 "금리", 금리의 뜻 부터 알아보자

 

금리 : (명)빌려준 돈이나 예금 따위에 붙는 이자. 또는 그 비율.

쉽게 말해서 돈을 빌릴 때 지불하는 비용이다.

이말인 즉슨, 금리가 오르면 돈을 빌리는 비용이 커지고, 반대로 금리가 내리면 빌리기 쉬워진다는 말.

 

※예시

 

  • 은행에서 1,000만 원을 빌렸는데 금리가 5%라면, 1년 후 50만 원의 이자를 내야 함.
  • 금리가 10%로 오른다면? 같은 돈을 빌려도 이자는 100만 원으로 증가.

그렇다면 기준 금리는??

 

기준 금리 : 자금을 조달하거나 운용할  적용하는 금리의 기준이 되는 금리.

중앙은행(한국은행)이 경제 상황을 보고 결정하는 것이 "기준 금리"라고 할 수 있겠다.

은행들이 돈을 서로 빌려줄 때 참고하는 금리이며(기준점 느낌), 이 기준에 따라 일반 대출 금리도 변동된다.

 

 

대출 받을 때 쓰는 이 금리를 일반적으로 나눈다면 "고정금리""변동금리"로 나눌 수 있다.

고정금리(Fixed Interest Rate)

  • 대출을 받을 때 정한 금리가 만기까지 동일하게 유지됨.
  • 금리 변동 위험이 없음 → 금리가 올라가도 내 대출이자는 그대로.
  • 하지만, 변동금리보다 초기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음.

변동금리(Variable Interest Rate)

  • 대출 기간 중 금리가 변동하는 방식.
  • 기준금리에 따라 주기적으로(예: 3개월, 6개월) 변동됨.
  • 초기 금리는 낮지만, 금리가 오르면 부담 증가.

 

대출 받는 상황에 맞춰서 고정금리가 유리한지, 변동금리가 유리한지 잘 파악하는게 중요할 것 같다.
(사회초년생인 작성자는 아직 대출을 받아본 적이 없다.)

 


기준금리가 오르면 왜 대출이자도 오를까?

1. 은행의 자금 조달 비용 증가

은행은 한국은행에서 돈을 빌려와 우리들에게 대출을 해준다.

그런데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은행도 더 높은 이자를 내야 하므로, 대출 금리를 올려서 이자 부담을 우리들에게 전가한다.

(돈 많은 분들이 좀 더 내줘라~우우우우~~~)

  • 기준금리가 2% → 3%로 상승 → 은행이 대출 금리를 5%에서 6%로 인상.
  • 기존에 1억 원을 빌렸던 사람은 연이자가 500만 원에서 600만 원으로 증가.

2. 물가 상승 억제 목적

①기준금리가 오르면 대출이 비싸지고

②기업들은 자금을 빌리는 비용이 비싸져 투자를

③소비자들은 대출이 비싸져 소비를 줄이게 된다.

소비와 투자가 줄면, 자연스럽게 수요의 감소로 이어지고, 결과적으로 물가 상승이 억제가 된다.

3. 주택 시장과 주식 시장에 미치는 영향

  • 부동산: 대출금리가 높아지면 주택담보대출 부담이 커져 부동산 시장이 위축됨.
  • 주식 시장: 기업들도 자금 조달 비용이 증가해 투자가 줄고, 주식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항상 긍정적이면 좋겠다...ㅠ)

반대로 기준금리가 내리면?

기준금리가 내려가면 대출 금리도 낮아지고, 돈을 빌리기 쉬워진다!

  • 대출 부담이 줄어 소비와 투자가 활성화됨.
  • 기업들도 저금리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어 경제 성장이 촉진.
  • BUT!!! 너무 낮은 금리는 물가 상승(인플레이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음.(신라면이 근례에 가격 인상을 한다는 소문이...)

결론 : 금리는 경제의 핵심 조절 장치

금리는 단순히 ‘대출이자’의 개념을 넘어, 경제 전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중요한 도구다.

출처 : 유희왕GX 에너미 컨트롤러(다들 봤제??)

  • 기준금리 인상: 대출 부담 증가, 소비 감소, 물가 안정, 부동산·주식시장 위축.
  • 기준금리 인하: 대출 부담 감소, 소비 증가, 경제 활성화, 인플레이션 위험 증가.
  • 고정금리 vs 변동금리 선택: 향후 금리 전망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결정.

 

이와 같이 기준금리의 변동은 우리내 삶에 많은, 큰, 엄청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뉴스를 잘 이해하고 대출, 투자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이 말 이었 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금리와 채권의 관계에 대해서 줍줍해서 보따리 풀어보는걸루 계획해보면서!

오늘은 여기까지~~안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