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3. 6. 17:37ㆍ경제/경제 상식 알아보기
다시 찾아온 두번째 시간.
사실 요즘 열심히 주식 경제 공부를 한다지만 아직 내실이 부족한 상태라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시작한 경제 공부 30일 첼린지.
오늘의 주제는 내실 중의 내실(사실 공부를 하고 온 지금도 이걸 어떻게 써먹을지 아직 잘 모르겠다...언젠간 깨달음을 얻겠지)
GDP, GNP 그리고 GNI 에 대해 알아보기!!!
국민총생산(GDP)를 알기 전에 나의 자산 현황부터 알아봐야 하지 않을까...-한빚
바쁜 현대인을 위한 한줄 요약 및 쉽게 배우기!
GDP : Domestic-국내니까 국내 경제 가치!
GNP : National-국민이니까 국민들이 번돈!
GNI : GNI(진)짜 소득(이거 보여주려고 어그로 끌었다...ㅎㅎ)

경제 뉴스나 정책 발표를 보면 "GDP 성장률", "GNI 증가" 같은 용어를 항상 접하게 된다.
하지만 솔직히 GDP, GNP, GNI가 각각 어떤 의미인지, 어떻게 다르고, 어떤 기준으로 사용되는지 아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오늘은 이 세 가지 개념을 쉽게(어려움) 알아보자^^;
1. GDP (Gross Domestic Product, 국내총생산)
GDP는 "국내에서 생산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총액"을 의미한다.
"한국의 GDP"는 한국이라는 국가 내에서 생산된 모든 경제적 가치의 총합.
여기에는 국내에서 활동하는 외국 기업도 포함된다.
GDP 특(징)
국경이 기준 : 한국 내에서 생산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 포함
내·외국인 구분 없음 : 국내에서 활동하는 외국 기업(예: 한국 내 외국 자동차 공장)도 포함됨
국가 경제 규모를 평가하는 대표적 지표 할 수 있겠다.
2. GNP (Gross National Product, 국민총생산)
GNP는 GDP에서 "국내에서 생산된 외국인의 소득을 제외하고, 해외에서 번 한국인의 소득을 포함한 것"
GDP가 국내 기준이라면, GNP는 국민 기준.
GNP 특(징)
국민이 기준 : 한국 국적을 가진 개인이나 기업이 벌어들인 모든 소득 포함
해외에서 번 소득을 포함하고, 국내 외국인의 소득은 제외 한 것.
(순혈 한국인들이 벌어오는 소득 느낌이랄까....성골 한국인 전투력 수치)
3. GNI (Gross National Income, 국민총소득)
GNI는 GNP와 유사하지만, 단순한 생산량뿐만 아니라 국제 간의 소득 이전까지 고려한 개념.
해외에서 받은 송금, 원조, 배당, 이자 소득 등을 포함하여 국민이 실질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소득을 측정하는 지표.
GNI 특(징)
국민 총소득을 의미 (국제 간 소득 흐름까지 반영)
실질적인 국민의 생활 수준을 평가하는 데 유용
점점 어려워 지는데....ㅠ
(어려워지까) 예시:
1. 한국인이 해외에서 받은 배당금, 이자 소득 → GNI 포함
2. 해외에서 한국으로 송금된 돈 → GNI 포함
3. 한국 정부가 해외로 보낸 원조금 → GNI에서 차감
4. GDP, GNP, GNI의 차이점 정리
GDP | 국경 기준 | 국내에서 생산된 모든 경제적 가치 |
GNP | 국민 기준 | 한국인(외국인 제외!)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소득 |
GNI | 국민 기준 + 소득 이전 | GNP + 해외 송금, 이자, 배당 등 포함 |
5. GDP, GNP, GNI를 활용하는 방법
- GDP가 중요할 때: 경제 성장률을 평가할 때 (국내 생산력이 얼마나 성장했는지 판단)
- GNP가 중요할 때: 국민이 벌어들이는 총소득을 비교할 때 (국민 경제력 평가)
- GNI가 중요할 때: 실질적인 생활 수준을 비교할 때 (국민들이 체감하는 소득 수준)
6. 결론: GDP, GNP, GNI의 활용법
GDP, GNP, GNI는 각각 다른 의미를 맥락에 맞게 해석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
- GDP는 국가 경제 규모를 평가하는 대표 지표.
경제 성장률 측정: GDP는 국내 생산 활동의 규모를 나타내므로, 경제 성장률을 평가하는 데 가장 널리 사용됨.
국내 경제 동향 파악: GDP 변화를 통해 경기 변동, 산업 구조 변화 등 국내 경제 전반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 GNP는 국민이 번 소득을 중심으로 본 경제 지표 :
국민 경제력 비교: GNP는 국민들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총소득, 국민 경제력을 비교하는 데 유용.
해외 경제 활동 반영: 해외 투자, 해외 취업 등으로 인한 소득을 포함하여 국민들의 총소득을 파악 가능. - GNI는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소득을 반영하는 지표 :
국민 생활 수준 비교: GNI는 국민들이 실제로 체감하는 소득 수준을 나타내므로, 국민 생활 수준을 비교하는 데 적합.
교역 조건 변화 반영: GNI는 교역 조건 변화에 따른 실질적인 구매력 변화를 반영하여 국민들의 실제 소득 변화를 더 정확하게 측정.
오늘도 알아본 경제 기초 상식들
당장에 어찌 적용해서 돈을 벌거나 하긴 힘들겠지만서도!
지나가면서 들려오는 뉴스를 이해하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다.
이렇게 하나씩 하다보면 언젠가 방구석 경제 박사 정도는 되는 날이 오지 않을까?
틀린점이나 추가로 설명할 부븐을 댓글 남겨주시면, 슥슥 수정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경제 > 경제 상식 알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Y 6 - 금 중의 금...세금에 대해 알아보자 (6) | 2025.03.19 |
---|---|
DAY 5 - 션의 의지..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 (0) | 2025.03.13 |
DAY 4 - 금리와 채권의 썸띵(?)을 알아보자 (0) | 2025.03.12 |
DAY 3 - 금리를 내린다고요?뭐 할인 같은 건가요? (6) | 2025.03.09 |
DAY 1 - PER, PBR.. 경제 초보한테는 단어부터 어렵다! (12) | 2025.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