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3. 20. 15:16ㆍ경제/경제 상식 알아보기
7일차로 돌아온 한빚의 경제 알아보기 시간.
오늘은 우리들의 친구, 우리들의 콜로세움, 우리들의 투우장, 우리들의 야바위(처럼 하면 안됨), 우리들의 도파민!
주식이란 무엇일까?
처음 나의 주식 걸음마는 대학생때 였었다..(대충 아련한 BGM)
친구들과 함께 빙 둘러 앉아 거래량이 많은 아무 종목이나 사서, 영차영차 차트를 응원했던 낭만의 시절...
정말 무지성 투기와 다름 없이 시작했었다.
그리고 시간은 흘러 24년이 되어서야, 야금야금 공부하고 거래하고 하게 되었다.
단순히 "주식을 사면 돈을 벌 수 있다"는 식의 막연한 개념이 아니라,
주식의 본질과 시장의 원리를 제대로 이해하면 투자할 때 훨씬 더 전략적인 판단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오늘은 "주식" 그 자체에 대해 알아보자!
제발 ! 주식도 물건처럼 이모저모 따져보고 사자_한빚
1. 주식이란?
주식(Stock)이란 기업이 발행하는 증서로, 해당 기업의 소유권을 나타내는 것.
쉽게 말해, 주식을 산다는 것은 그 회사의 일부를 소유하는 것과 같다.
💬 예시
- A라는 기업이 100만 주의 주식을 발행했다면, 이 기업의 전체 가치는 100만 개의 주식으로 나뉘어 있음.
- 내가 1만 주를 보유하고 있다면, 나는 A 기업의 1% 지분을 가지고 있는 것.
💡 주식을 보유하면 얻을 수 있는 권리
1. 배당금 – 기업이 이익을 내면 일부를 주주들에게 배당금으로 지급함.
2. 의결권 행사 – 일부 주식(보통주)을 보유하면 주주총회에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음.
3. 주가 상승 차익 – 기업 가치가 상승하면 주가도 오르며, 이를 팔아 차익 실현 가능.
※우선주 : 의결권이 없는 대신 보통주보다 이익배당 우선순위가 높은 주식!
즉, 주식을 보유하면 기업의 성장과 이익을 함께 나눌 수 있는 주주가 됨.
(기업이 자사주 매입, 배당금 상승 등을 하면서 주주환원을 해야하는 이유,잘 좀 해라!)
2. 주식의 시작 :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주식이 처음 등장한 것은 17세기 초 네덜란드.
당시 유럽에서는 아시아와의 무역이 매우 중요했는데, 문제가 하나 있었다.
📢 문제: 배 한 척을 띄우려면 돈이 너무 많이 든다...
- 배를 건조하고, 선원을 고용하고, 물건을 실어 나르는 데 엄청난 자금이 필요.
- 하지만 개별 상인이 이 모든 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웠음.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네덜란드 동인도회사(VOC, Verenigde Oost-Indische Compagnie)가 1602년에 설립됨.
✔ 해결책: 여러 사람이 돈을 모아 함께 투자하는 방식
- 동인도회사는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주식을 발행했고, 투자자(주주)들은 주식을 사서 회사의 일부를 소유하게 됨.
- 회사가 무역을 통해 이익을 내면, 투자자들은 배당금을 받거나 주식을 팔아 차익을 얻을 수 있었다.
- 이 주식을 사고파는 시장이 세계 최초의 주식시장(암스테르담 증권거래소)으로 발전.
이 개념이 퍼지면서 영국 동인도회사, 프랑스 동인도회사 등도 비슷한 방식을 도입하게 되었다.
아날로그한 주식 이었달까?
3. 기업은 왜 주식을 발행하는가
기업이 사업을 확장하려면 자금이 필요.
이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 대출(부채 조달) – 은행이나 채권을 통해 돈을 빌림.
✔ 주식 발행(자본 조달) – 투자자들에게 주식을 팔고 투자금을 받음.
대출과 주식 발행의 차이
구분 | 대출(부채 조달) | 주식 발행(자본 조달) |
자금 출처 | 은행, 채권 투자자 | 주식 투자자(공개시장) |
상환 의무 | 반드시 갚아야 함 | 상환할 필요 없음 |
이자 부담 | 있음 | 없음 |
기업 지분 변화 | 없음 | 투자자들이 기업 지분을 보유 |
주식을 발행하면 빚을 지지 않고도 자금을 마련할 수 있지만,
대신 기업의 소유권을 투자자들과 나누는 것이므로 기업 경영진 입장에서는 주주들의 눈치를 봐야 할 수도 있음.
(안보는 곳도 많더라...!)
4. 주식을 투자하는 이유
주식 투자는 단순히 돈을 버는 수단이 아니라, 기업의 성장에 동참하는 과정.
✔ 기업이 성장하면 주가가 오르고, 주주는 그 과실을 나눠 가짐.
✔ 은행 예금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음.
✔ 배당금 수익을 통해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만들 수도 있음.
하지만 무조건 돈을 벌 수 있는 것은 아님.(암요 암요...주륵)
✔ 기업의 실적이 악화되거나 경제 상황이 나빠지면 주가가 하락할 수 있음.
✔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리스크 관리가 중요함.
따라서 주식 투자를 할 때는 기업 분석, 경제 흐름, 리스크 관리 등을 철저히 해야 한다...!
꼭...!
6. 결론
1️⃣주식은 기업의 소유권을 나타내며, 주식을 보유하면 기업의 일부를 소유하는 것과 같다.
2️⃣ 기업은 주식을 발행하여 사업 확장 자금을 마련함.
3️⃣ 주식시장은 1602년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에서 시작되어 현재 글로벌 금융시장의 핵심 요소가 됨.
4️⃣ 주가는 기업 실적, 경제 상황, 정책 변화 등에 따라 변동하며, 올바른 투자 전략이 필요함.
주식을 단순한 ‘돈 버는 도구’가 아니라
기업과 경제의 흐름을 반영하는 중요한 시스템으로 이해하면, 더 현명한 투자자가 될 것 같다!
'경제 > 경제 상식 알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Y 9 - 달러와 엔, 묘한 둘의 사이에 대해 알아보자 (2) | 2025.04.03 |
---|---|
DAY 8 - 펀드?ETF? 그거 주식이야? (2) | 2025.03.28 |
DAY 6 - 금 중의 금...세금에 대해 알아보자 (6) | 2025.03.19 |
DAY 5 - 션의 의지..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 (0) | 2025.03.13 |
DAY 4 - 금리와 채권의 썸띵(?)을 알아보자 (0) | 2025.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