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 9 - 달러와 엔, 묘한 둘의 사이에 대해 알아보자

2025. 4. 3. 16:11경제/경제 상식 알아보기

다시 돌아온 경제 기초 공부 시간(자주자주 해야지)

경제를 공부하다가 듣게 된 한 이야기.

( 円 ,일본 통화)이 안전 자산으로 분류된다는 것이다.

이웃나라 통화는 왜 안전 자산이고, 우리 원화는 왜 안전 자산이 아닌 것일까...

그래서 조금씩 파다 보니 얽히고설킨 달러와 엔의 관계에 대해서 쬐금 공부하게 되었다.

그래서~오늘 해볼 공부는

달러와 엔, 무슨 사이일까!

대응하지 말고 대비해라, 난 둘다 못했다..._한빚



1️⃣ 일본의 경제 구조와 엔화의 역할

🔹 일본은 수출 중심 경제

  • 일본은 자동차, 전자제품, 기계 등 수출 주도형 경제를 가진 나라다.
  • 일본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려면 엔화 가치가 너무 강해지면 안 된다.
    💔엔화 강세 → 일본 수출품 가격 상승 → 수출 경쟁력 저하
    ❤️엔화 약세 → 일본 수출품 가격 하락 → 수출 증가

🔹 정부의 환율 정책

  • 일본 정부는 종종 엔화 약세를 유도하기 위해 개입한다.
  • 반면, 미국은 자국 통화 정책을 수출보다 금융시장과 경제 성장 중심으로 운영한다.

👉 결과 :


미국이 금리를 올려도, 일본은 수출 경쟁력을 유지하려고 저금리를 유지하는 경향이 생김 → 달러 강세, 엔 약세 구조 형성

 

2️⃣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안전자산’으로 자리 잡은 엔화

🔹 일본의 초저금리 정책

  • 일본은 1990년대 자산 거품 붕괴 이후, 장기 불황(잃어버린 20년)을 겪으며 초저금리 정책을 유지해 왔다.
  • 금리가 낮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일본에서 돈을 빌려 다른 나라(특히 미국)에 투자하는 전략을 쓴다.
    *이를 "캐리 트레이드"(Carry Trade)라고 한다.
    *일본 금리 인상 우려와 같은 이슈가 있을 때,
     캐리 트레이드를 진행한 투자자들이 기대 수익과 리스크를 고려해 원화를 회수할 경우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이 일어난다.

🔹 위기 때 엔화 강세가 나타나는 이유

  • 글로벌 금융위기나 경기 침체가 발생하면, 투자자들은 위험을 피하기 위해 안전자산을 찾는다.
  • 일본 투자자들은 해외에서 투자한 자금을 엔화로 환전하여 본국으로 되돌리기 때문에(리스크 회피) → 엔화 가치 상승(엔 강세)
  • 반면, 경제가 안정될 때는 캐리 트레이드가 활발해지며 → 엔화 가치 하락(엔 약세)

👉 결과 : 위기가 올 때마다 엔화 강세가 나타나는 구조가 형성됨

 

3️⃣ 일본과 미국의 금리 차이가 중요한 이유

미국과 일본의 금리 차이는 환율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 미국 금리가 오르면 → 달러 강세, 엔 약세

  • 미국이 금리를 인상하면, 투자자들은 더 높은 수익을 얻기 위해 미국 자산(달러)으로 자금을 이동시킨다.
  • 반면, 일본은 저금리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아, 일본 엔화보다 미국 달러가 더 매력적이게 됨.
  • 이 때문에 엔화 가치는 떨어지고(엔 약세), 달러는 강세를 보인다.

🔹 미국 금리가 내리면 → 엔 강세, 달러 약세

  • 미국이 금리를 낮추면, 투자자들은 더 높은 수익을 찾아 일본 등 다른 나라로 돈을 이동시킨다.
  • 이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떨어지고(달러 약세), 엔화는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인다.

결과:
👉 금리 차이가 커질수록 달러 강세, 엔 약세 경향이 강해짐
👉 금리 차이가 줄어들면 엔 강세, 달러 약세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음


📌 정리: 달러와 엔이 시소처럼 움직이는 이유

1️⃣ 일본은 수출 중심 경제이므로, 정부가 의도적으로 엔화 약세를 유지하는 경향이 있음.
2️⃣ 일본의 초저금리 정책 때문에, 투자자들은 일본에서 돈을 빌려(엔화 차입) 미국에 투자하는 캐리 트레이드를 함.
3️⃣ 글로벌 금융위기가 오면, 투자자들이 엔화로 돈을 환전해 리스크 회피를 하면서 엔 강세가 나타남.
4️⃣ 미국과 일본의 금리 차이가 커질수록 달러 강세, 엔 약세 현상이 강화됨.

 

이런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달러와 엔은 긴밀한 상관관계를 가지게 된 것이다.

 

😁앞으로 "달러-엔 환율" 변화를 볼 때, 환율 숫자만 보지 말고 배경과 원리를 함께 고려하면 더 정확한 판단이 가능!(할지도...)

 

다음 글에서는 엔이 안전자산으로 불리는 더 자세한 원인을 알아보자